합병증이 무서운 병, 당뇨병

당뇨병은 당뇨병 그 자체 뿐 아니라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닥터파스타's avatar
Jul 02, 2025
합병증이 무서운 병, 당뇨병

[닥터파스타의 3줄 핵심 요약]

  1. 당뇨병은 혈관 건강을 저해하여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하는 데 그중 한가지가 당뇨병신장질환입니다.

  2. 1형 당뇨병의 경우 당뇨병 진단 5년 후부터, 2형 당뇨병의 경우 당뇨병 진단과 함께 당뇨병신장질환의 진단 검사를 시작하여 매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3. 한번 나빠진 콩팥은 회복이 어렵지만 기능이 더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혈압과 식이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당뇨병을 수식하는 여러 가지 표현 중에 늘 빠지지 않는 것은 ‘병보다 합병증이 무서운 병'입니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혈당)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해 생기는 대사 질환으로, 당뇨병에 걸린 사람은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침묵의 병'이라는 표현답게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초기에 발견이 어렵고, 고혈당이 장기간 지속되어 생긴 다른 합병증 때문에 검사를 받다가 우연히 당뇨병이 있는지 알게 되는 경우도 많은데요.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병신장질환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당뇨병은 왜, 그리고 어떻게 당뇨병신장질환을 일으키고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1. 당뇨병이 콩팥에 미치는 영향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면 몸에 필요한 성분을 흡수한 이후에 노폐물이 남습니다. 콩팥은 이 노폐물을 걸러내어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아 노폐물을 거르고 여분의 수분과 함께 소변의 형태로 만들어 배출한 뒤 남은 혈액을 정맥으로 되돌려 보냅니다. 이런 과정이 이루어지는 곳은 가느다란 모세혈관이 한데 뭉쳐져 덩어리를 이룬 사구체라고 하는 조직입니다. 따라서 콩팥은 거대한 혈관 조직인 셈입니다.

그런데 당뇨병으로 인해 핏속에 포도당이 넘치는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에 다양한 합병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쉽게 말해 ‘달콤한 피'가 혈관을 따라 온 몸을 구석구석 돌면서 혈관을 서서히 망가뜨려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고 볼 수 있는데, 혈관 합병증 중에서도 미세한 혈관 조직에 생기는 합병증을 당뇨병성 미세혈관합병증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당뇨병성 미세혈관합병증에는 당뇨병망막병증, 당뇨병신경병증, 그리고 당뇨병신장질환이 있습니다.

고혈당으로 인해 혈관이 망가지기 시작하면 모세혈관 덩어리로 뭉쳐진 콩팥에도 그 영향이 미치게 됩니다. 망가진 혈관으로 인해 콩팥의 기능은 점점 떨어지고, 혈관이 좁아져 혈압이 올라가게 되는데, 고혈압은 또 모세혈관인 콩팥을 자극해 콩팥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악순환의 고리가 생기게 됩니다. 실제로, 국내에서 성인 7명 중 1명은 콩팥의 기능이 감소된 상태인 만성 콩팥병증을 앓고 있는데, 콩팥병증이 계속 진행하여 콩팥의 기능이 더 떨어지면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상태인 말기 신부전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런데 말기 신부전까지 이르게 하는 원인이 되는 질환을 살펴보면 1위가 당뇨병, 2위가 고혈압, 3위가 만성사구체신염(콩팥 자체의 질병)으로, 콩팥 자체의 질병보다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 신부전 환자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가 모두 당뇨병신장질환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40% 정도의 환자가 콩팥 기능이 감소되어 당뇨병신장질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당뇨병신장질환으로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손, 발이나 눈두덩이가 붓거나 혈압 조절이 잘되지 않고 숨이 차거나 쉽게 지치며 오심 구토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2. 콩팥병증의 검사

당뇨병을 오래 앓았거나 이미 콩팥병증이 생긴 이후에는 혈당 관리를 잘해도 콩팥을 개선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당뇨병 발병 초기에 혈당 관리를 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콩팥은 기능이 조금 나빠져도 일반적으로 특별한 증상을 느끼기 어렵고 소변량도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소변검사와 혈액검사를 하지 않으면 질환을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당뇨병 전단계에 있다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콩팥의 기능이 나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콩팥병증은 소변 검사를 통해 미세알부민뇨를 확인하고, 혈액검사를 통해 혈청 크레아티닌의 상승을 체크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세알부민뇨는 미세단백뇨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소변 검사에서 검출되지 않는 정도로 미량의 단백질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그리고 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인데, 혈액으로 분비되어 신장에서 여과한 다음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혈청 크레아티닌을 확인하면 콩팥의 사구체가 혈액을 얼마나 잘 거르는지 속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콩팥의 기능을 대변하는 검사로 활용됩니다. 

당뇨병의 유형에 따라 1형 당뇨병의 경우 당뇨병 진단 5년 후부터, 2형 당뇨병의 경우 당뇨병 진단과 함께 당뇨병신장질환의 진단 검사를 시작하여 매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콩팥 질환은 조직 검사를 통해 콩팥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런데 당뇨병이 장기간 진행된 환자 중 특히 당뇨병망막병증이 동반된 경우라면,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고 당뇨병신장질환을 진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단백뇨의 정도가 심하거나 콩팥 기능을 대변하는 사구체여과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우, 혹은 혈뇨가 동반될 경우에는 다른 추가적인 질병이 있는지 등을 판단하기 위해 조직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3. 당뇨병신장질환의 관리

한번 나빠진 콩팥은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일단 콩팥의 이상이 발견된 후부터는 검사와 관리를 더 철저히 해 콩팥의 기능이 떨어지는 속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당뇨병신장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병증의 관리를 위해 혈당 조절과 함께 혈압강하제를 처방하고, 필요에 따라 콜레스테롤 저하를 위해 스타틴제제를 처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콩팥은 노폐물 배출을 담당하는 기관인 만큼, 다양한 약물 또한 배설하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콩팥의 기능이 나빠지면 일부 약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약물이 체내에 축적되어 저혈당이 발생하거나 또는 다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콩팥 기능에 따라서 약물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콩팥의 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하면 기존에 복용하던 약물을 주치의와 상의하여 조절해야 합니다. 만약, 콩팥의 기능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떨어져 말기신부전으로 발전하게 되면 신장 투석이나 이식을 통해 기능을 대체해야 합니다. 만약 콩팥의 기능이 극도로 떨어진 상태에서 투석이나 이식하지 못하는 경우, 수개월 이내에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이렇듯 말기신부전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상태이기 때문에 당뇨병신장질환에서 더 악화되어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꾸준하고 철저한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 당뇨병으로 인해 다른 혈관합병증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당뇨병신장질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고혈압과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저염 식단을 하거나, 콩팥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단백질 양을 조절한 식단이나 저칼륨 식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 평소에 정상혈당을 유지하고,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을 개선하는 생활 습관의 조절이 가장 필수적이며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라면 체중을 조절하고 흡연자라면 금연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외에, 건강하고 규칙적인 식습관을 통해 지나친 고혈당과 저혈당이 오지 않도록 혈당을 잘 관리하며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당뇨병에 걸렸다고 해서 즉시 나의 몸이 아프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그렇다 보니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보다 당장 먹고 싶은 음식, 배부르게 먹고 눕고 싶은 유혹에 더 쉽게 넘어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당뇨병은 소리 없이 서서히 우리 몸의 곳곳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오늘 내 몸이 아프지 않더라도 꾸준히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하더라도 혈당을 정상 수치에 가깝게 유지한다면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에 연속혈당측정(CGM)을 통해 꾸준하게 혈당을 확인하면서 자신의 혈당이 정상범위에 있는지 항상 체크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문헌

  • Alicic RZ, Rooney MT, Tuttle KR. Diabetic Kidney Disease: Challenges, Progress, and Possibilities. Clin J Am Soc Nephrol. 2017;12(12):2032-2045. doi: 10.2215/CJN.11491116. PMID: 28522654

  • Umanath K, Lewis JB. Update on Diabetic Nephropathy: Core Curriculum 2018. Am J Kidney Dis. 2018;71(6):884-895. doi: 10.1053/j.ajkd.2017.10.026. PMID: 29398179.

Share article

파스타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