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가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다고?

커피가 혈당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닥터파스타's avatar
Mar 25, 2025
커피가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다고?

[닥터파스타의 3줄 핵심 요약]

  1. 커피가 혈당에 영향을 주는 것은 맞지만,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2. 아메리카노나 에스프레소 같은 블랙커피라면 적정 용량의 카페인을 섭취했을 경우,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하지만, 라떼와 같은 달콤한 커피의 경우 혈당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커피를 마신다면 블랙커피를 적당량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커피전문점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는 요즘,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 어디를 가도 골목 골목까지 커피향을 풍기는 커피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의 커피 사랑은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데요.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의 연간 커피 소비량은 367잔으로 전 세계 평균 161잔에 비해 두 배 이상이 높으며 세계 2위 수준의 소비량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직장인의 경우 출근해서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머리가 멍해서 일이 안 된다고 할 만큼 매일 마시는 커피와 우리 일상생활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커피도 혈당에 영향을 줄까요?

1. 커피와 혈당과의 관계

커피와 혈당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지만, 그 결과는 상반되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가 커피를 마셔도 되는지 안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커피가 혈당을 증가시킨다는 연구도 있고 장기적으로는 혈당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특히 식후 커피의 경우는 혈당을 올린다는 연구들이 많습니다. 또한 개인에 따라 커피에 대한 혈당 반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반된 결과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커피는 어떻게 혈당에 영향을 주는 걸까요? 먼저 커피에는 카페인, 클로로겐산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중 카페인은 인슐린 민감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공복 상태에 카페인을 섭취했을 때보다는 당분이나 탄수화물을 섭취한 뒤 카페인을 섭취하였을 때 혈당이 더 상승되고 지속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커피 안의 항산화물질 중의 하나인 클로로겐산은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고 혈액 내에 있는 포도당을 근육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혈당 수치를 감소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습니다.

2. 다양한 연구로 보는 커피와 혈당

커피가 혈당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있었던 연구들 중, 2019년 한국영양학회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에 발표한 논문이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카페인 섭취 수준과 대사증후군 및 관련 질환과의 관련성을 연구했는데, 하루 3.66~45.81mg 수준의 카페인 섭취 군에서 당뇨병 발생의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2023년 4월 국제 학술지 Clinical Nutrition(클리니컬 뉴트리션)에서는 커피 섭취와 당뇨병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실렸는데, 연구팀이 연구 참가자들을 7.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참가자가 커피를 한 잔 더 마실 때마다 2형 당뇨병 위험이 4∼6% 감소했고,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지표와 체내 염증 지표도 낮아졌습니다. 연구팀은 체내 염증이 생길 때 간에서 혈액으로 내보내는 단백질인 CRP 지표가 커피를 즐기는 사람의 경우 낮아지게 되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특히 분쇄커피를 즐기는 사람과 금연하는 사람에게서 CRP 감소로 인한 당뇨병 예방 효과가 더 뚜렷했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이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중요한 것은 커피의 섭취 방법과 섭취 수준입니다. 아메리카노나 에스프레소와 같은 블랙커피라면 적정 용량의 카페인을 섭취했을 경우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섭취하는 커피가 설탕이나 식물성 유지(프림)를 포함한 믹스커피나, 커피전문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맛의 라떼 등이라면 해당하지 않는 이야기일 것입니다.

커피를 아예 끊을 수 없다면 혈당 조절을 위해 더 똑똑한 선택이 무엇인지 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하루에도 몇 잔씩 믹스커피를 마시고 있거나, 식사 후 달콤한 디저트와 블랙커피를 마시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이런 습관은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문헌

  1.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The 2012–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ents 2019, 11, 2377

  2. C-reactive protein partially mediates the inverse association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The UK Biobank and the Rotterdam study cohorts. Clin Nutr. 2023 May;42(5):661-669.

Share article

파스타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