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무엇이고 어떤 증상이 있나요?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과 대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닥터파스타's avatar
Jan 13, 2025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무엇이고 어떤 증상이 있나요?

[닥터파스타의 3줄 핵심 요약]

  1.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주로 말초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데 손과 발의 저림이나 통증이 올 수 있고 소화장애, 설사, 기립성 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가장 흔한 증상은 발가락이나 발의 통증이고, 정도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3. 신경병증은 발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 악화되면 다리 위로 신경 손상이 올라갈 수 있어 병원 검진을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중요한 치료법은 혈당 수치 조절로 본인에 맞는 치료를 해 혈당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병은 우리 몸의 혈관을 망가뜨려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당뇨병이 혈관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반응을 일으키는 신경계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당뇨병은 신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미세혈관에 혈액 순환 장애를 발생시켜 신경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데요.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1형 및 2형 당뇨병 환자 모두에게 발병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의 최대 26%가 당뇨병 진단 당시 신경 손상이 진행되어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경병증은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경계는 우리 몸 속 곳곳에 실처럼 퍼져있습니다. 우리 몸은 이 신경을 사용해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들어오는 다양한 자극을 뇌로 전달하고 뇌로부터 받은 반응을 다시 몸으로 내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통증을 느껴 몸을 움츠리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제어할 수 없지만 자연스레 심장이 뛰고, 밥을 먹으면 소화를 시켜 대장을 지나 배설하는 것까지 모두 신경계가 관여합니다.

그래서 신경계가 손상되면 어떤 신경이 손상되었는지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는데,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주로 말초신경 손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와 척수에 연결되어 온 몸으로 뻗어있는 말초신경에 손상이 생기면 손과 발의 저림이나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말초신경 중에서도 우리 몸 속 장기들과 연결되어 호흡, 소화, 순환, 흡수, 분비 등을 담당하는 자율신경에 손상이 생기면 소화장애, 변비, 설사, 기립성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발가락이나 발의 통증, 작열감, 따끔거림 또는 무감각, 가벼운 촉감에도 통증을 느끼게 되는 민감성 등이 있습니다. 통증은 보통 휴식 중에 가장 심하고 걷기와 같은 활동 시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어떤 사람들은 처음 발에 심한 통증을 느끼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증상이 거의 없기도 합니다.

신경계는 좌우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양손이나 양 발등, 몸의 양쪽에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그중에서도 심장에서 가장 멀고 혈액 순환이 어려운 발가락에서 신경병증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악화가 되면 점차 다리 위로 신경 손상이 올라갈 수 있고, 신경 손상이 심해지면 통증을 느끼는 통각이 둔감해지며 부상 위험도 많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신경 손상으로 인해 통증뿐만 아니라 덥고 추운 감각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지면 발을 다칠 위험이 커집니다. 당뇨병이 없거나 신경 손상이 없는 사람의 경우 일상생활 중에 작은 가시를 밟거나, 새 신발을 신어 물집이 생기거나, 내향성 발톱이 생기면 통증을 느끼고 살펴보고, 뾰족한 것을 밟게 되면 반사적으로 피하게 됩니다.

하지만 신경이 손상되어 통증에 무뎌진 당뇨병 환자는 상처를 입은 줄도 모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고혈당으로 인해 상처가 잘 낫지 않고 세균감염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다친 줄도 모르고 있다가 작은 상처가 큰 감염이나 궤양으로 발전해 당뇨병성 족부궤양, 즉 당뇨발로 진행하는 경우도 생기며 궤양이 심할 경우 발가락이나 발 자체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까지 생기게 됩니다.

3. 당뇨병성 신경병증 검사와 치료

손이나 발에 지속적으로 저린 느낌과 무딘 감각이 있으면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검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진단하기 위해서 피부에 직접 미세한 전기자극을 주는 신경전도 검사나, 신경 부분을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신경 생검 또는 X-ray나 CT 촬영 같은 영상 검사를 하지 않아도, 기존 병력과 발의 신체검사를 바탕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이때 발가락이나 발에 진동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거나, 통증, 가벼운 촉감, 온도를 감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거나, 아킬레스건 반사가 없거나 적은 경우 신경 손상 징후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진단받은 경우, 신경병증을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을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혈당 수치 조절과 생활 습관 개선, 그리고 약 처방을 받게 됩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중요한 치료법은 혈당 수치 조절로, 혈당이 개선되면 통증이나 작열감 같은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혈당 수치가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주사를 더 자주 맞거나 인슐린 펌프를 사용해야 하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경구용 약물을 추가로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시작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함께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생활 습관 개선입니다.

미국 당뇨병 협회에서는 2형 당뇨병의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의 첫 번째 방법으로 생활 습관 개선, 특히 식단과 운동을 권장하는데, 포화 지방이 적고 통곡물, 채소, 과일, 살코기가 많은 영양이 풍부한 식단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운동은 일주일에 3회 이상 빠르게 걷기와 같은 중등도에서의 운동과 격렬한 신체 활동을 최소 150분 이상 하고 모든 주요 근육을 사용하는 근육 강화 활동을 일주일에 이틀 이상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특히 운동을 수행한다면 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는데 신경병증으로 인해 상처가 나도 잘 모를 수 있기 때문에 매일 발을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신경 병증으로 인해 통증이 심한 경우 경구약을 처방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로 둘록세틴, 프리가발린, 삼환계 약물(예: 아미트립틸린), 가바펜틴, 트라마돌, 알파 리포산 등의 약물이 많이 사용되지만, 이 약들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용법, 용량 등에 대해 전문의와 상담을 한 후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혈관과 신경은 우리 몸의 모든 곳에 퍼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뇨병은 전신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오늘의 나는 아프게 하지 않지만 5년 뒤, 10년 뒤의 나를 조용히 그리고 서서히 병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당이 얼마나 잘 조절되고 있는지 매일 확인하고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는 식단과 운동을 통해 우리 몸 속의 수많은 곳을 연결하는 신경이 손상되지 않게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 문헌

  1. Davies M, Brophy S, Williams R, Taylor A. The prevalence, severity, and impact of painfu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in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6 Jul;29(7):1518-22. doi: 10.2337/dc05-2228. PMID: 16801572.

  2. Pop-Busui R, Boulton AJ, Feldman EL, Bril V, Freeman R, Malik RA, Sosenko JM, Ziegler D. Diabetic Neuropathy: A Position Statemen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7 Jan;40(1):136-154. doi: 10.2337/dc16-2042. PMID: 27999003; PMCID: PMC6977405.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4. Lifestyle Management. Diabetes Care. 2017 Jan;40(Suppl 1):S33-S43. doi: 10.2337/dc17-S007. PMID: 27979891.

  4. Paddy C. Dempsey, Robyn N. Larsen, Parneet Sethi, Julian W. Sacre, Nora E. Straznicky, Neale D. Cohen, Ester Cerin, Gavin W. Lambert, Neville Owen, Bronwyn A. Kingwell, David W. Dunstan; Benefits for Type 2 Diabetes of Interrupting Prolonged Sitting With Brief Bouts of Light Walking or Simple Resistance Activities. Diabetes Care 1 June 2016; 39 (6): 964–972. https://doi.org/10.2337/dc15-2336

  5. Price R, Smith D, Franklin G, Gronseth G, Pignone M, David WS, Armon C, Perkins BA, Bril V, Rae-Grant A, Halperin J, Licking N, O'Brien MD, Wessels SR, MacGregor LC, Fink K, Harkless LB, Colbert L, Callaghan BC. Oral and Topical Treatment of Painful Diabetic Polyneuropathy: Practice Guideline Update Summary: Report of the AAN Guideline Subcommittee. Neurology. 2022 Jan 4;98(1):31-43. doi: 10.1212/WNL.0000000000013038. PMID: 34965987.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과 대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Share article

파스타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