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중 월경이 멈추었다면?

영양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 그럴 수 있어요.
닥터파스타's avatar
Aug 11, 2025
다이어트 중 월경이 멈추었다면?

인류는 진화하는 동안 기근과 식량 부족에 노출되는 기간이 여러 차례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인간은 생존에 위협을 받을 때 생존에 비교적 덜 관여하는 기능에는 에너지 분배를 최소화하도록 적응해 왔는데요.

식사량이 줄어들어 영양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신체는 기근과 같은 상황으로 인식하고 생존 모드에 돌입하게 됩니다. 

인간의 생식 기능은 종의 번식을 위해서는 중요하지만, 개인의 생존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식량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생식을 위한 기능에 에너지 분배가 최소화됩니다.

그 결과, 2~3일의 단식만으로도 생식 기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호르몬(황체호르몬, 여포자극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감소하는 것이 보고 되었습니다.

생식 기능의 저하는 불규칙한 월경 주기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줄어든 영양 공급이 신체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cortisol) 분비가 증가하는데, 코티졸의 상승과 지방조직(adipose tissue)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렙틴(leptin)의 감소로 우리 몸은 아기를 만드는 준비를 잠시 멈추게 됩니다. 

과거 전쟁 중에 월경이 중단되었다는 보고가 많은데 주 원인으로 스트레스와 영양불량이 지목됩니다.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과도하게 열량을 제한하는 식단(low calorie restriction diet)을 지속하는 경우도 우리 몸은 전시 상태와 마찬가지로 월경이 중단되거나 불규칙해지기 쉽습니다.

전쟁 중에 심각한 영양실조를 경험한 산모의 아기들이 생애 주기 중에 여러가지 건강의 문제를 겪는 것이 보고되었는데요. 이처럼 과도한 식이요법의 폐해는 본인뿐 아니라 다음 세대의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적정 체중을 단기간에 얻기 위해 지나친 식이요법으로 오히려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리의 몸이 전쟁 상황으로 인지하지 못하도록, 건강하고 느긋하게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건강한 다이어트를 시작해 보세요. 


참고 문헌

  • Amorim T, Khiyami A, Latif T, Fazeli PK. Neuroendocrine adaptations to starvation.
    Psychoneuroendocrinology. 2023 Nov;157:106365. PMID: 37573628.
    doi: 10.1016/j.psyneuen.2023.106365.

  • Fernandez-Twinn DS, Hjort L, Novakovic B, Ozanne SE, Saffery R. Intrauterine programming of obesity and type 2 diabetes. Diabetologia. 2019 Oct;62(10):1789-1801. PMID: 31451874 doi: 10.1007/s00125-019-4951-9.

Share article

파스타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