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길을 가게 도와주는 나의 발자국, AGP 보고서

AGP 보고서의 모든 것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닥터파스타's avatar
Feb 24, 2025
건강한 길을 가게 도와주는 나의 발자국, AGP 보고서

[닥터파스타의 3줄 핵심 요약]

  1. AGP 보고서란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며 모은 혈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지표들을 통해 혈당 상태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2. 파스타의 AGP 보고서를 통해 혈당 통계와 활동 혈당 개요, 일일 혈당 프로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AGP 보고서를 통해 혈당 변화의 기록을 볼 수 있어 그동안의 혈당 관리가 어땠는지 파악하기 쉽습니다.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사용하면 내 혈당이 언제 얼마나 오르고 떨어지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목표하고 있는 혈당의 범위 안에 얼마나 많이 머물렀고 벗어났는지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혈당 관리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런 기록들을 모아서 한두 장으로 핵심만 요약해 준다면 지금 나의 혈당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고, 지난번 착용과 비교했을 때 좋아졌는지 나빠졌는지 쉽게 알 수 있는데요. 그래서 파스타에서도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쌓인 나의 혈당 기록을 리포트 탭 오른쪽 상단의 AGP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GP 보고서를 잘 이해할 수 있어야 혈당 관리에 더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AGP 보고서에서 각각의 지표들이 의미하는 바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GP 보고서는 정확히 무엇이고 어떻게 읽으면 될까요?

1. AGP 보고서란?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일정 기간 사용하고 나면 혈당 관리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보고서가 생성되는데 이를 AGP 보고서라고 합니다. AGP 보고서는 ‘활동 혈당 개요(ambulatory glucose profile)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연속혈당측정기(CGM) 사용이 권장되는 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AGP 보고서를 통해 당뇨병 외래 진료 시 참고 자료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2019년에 발표된 국제지침을 통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AGP 보고서는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사용하면서 일정 기간 이상 모은 혈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혈당의 범위와 변동성 등을 표준화된 통계와 그래픽 정보로 보여주는 단일 페이지의 보고서입니다. 일반적으로 AGP 보고서는 당뇨병 환자가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했던 기간, 사용 비율, 평균 혈당, 혈당 관리 표시기 (Glucose management indicator, GMI 또는 예상당화혈색소), 혈당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표준 편차(SD) 및 변동 계수(CV)와 범위내시간(Time in Range, TIR)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파스타의 AGP 보고서 - 혈당 통계와 목표 범위 내 비율

파스타에서도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착용하는 경우, 국제 지침에 맞춘 AGP 보고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파스타의 AGP 보고서에서는 가장 먼저 혈당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당 통계에서는 평균 혈당, 혈당 관리 지표(GMI), 변동계수(CV)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 평균 혈당 :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착용했던 기간동안 혈당 데이터의 평균을 의미합니다.

  • 혈당관리지표(GMI) : 연속혈당측정기(CGM)로부터 얻은 혈당 데이터를 통해 예상한 당화혈색소 값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당화혈색소와 비슷한 수치지만 혈당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실제 당화혈색소와 다를 수 있습니다. GMI가 당화혈색소보다 계속 낮게 나오면 저혈당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GMI가 당화혈색소보다 계속 높게 나오면 당화혈색소 목표치를 좀 더 낮추어야 합니다.

  • 변동계수(CV) : 혈당 변동성을 나타내는 변동계수를 의미하는데 CV는 36% 이하로 유지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CV가 36%를 넘으면 혈당의 변동이 커서 저혈당 발생 위험이 높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저혈당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목표 범위 내 비율은 목표하는 혈당의 범위에 머물렀던 시간을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목표 혈당 범위가 70~180mg/dL일 때 70mg/dL 이하, 180mg/dL 이상으로 벗어난 적이 얼만큼 있었는지를 보여주어, 혈당이 얼만큼 안정적인 값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3. 파스타의 AGP 보고서 - 활동 혈당 개요와 일일 혈당 프로필

파스타의 활동 혈당 개요과 일일 혈당 프로필은 24시간 시간대별 혈당 추이 그래프와 요일 별 혈당 그래프를 보여주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활동 혈당 개요에서는 각 시간대별 혈당값의 분포를 알 수 있는데, 50%를 나타내는 선을 확인하면 어떤 시간대에 혈당이 대체로 높았었는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간대에 탄수화물 양을 조절하면 혈당 조절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5%와 95% 사이의 간격이나 25%와 75% 사이와 같이 간격이 넓은 구간은 혈당 변동성이 큰 시기이기 때문에 그 시간대에 먹는 음식이나 약물, 인슐린 등을 조정하면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루 중 언제 저혈당의 비율이 높았고 언제 고혈당의 비율이 높았는지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생활 습관을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벽 시간대에 저혈당의 비율이 높았고 점심시간에 고혈당의 비율이 높았다면, 자기 전에는 인슐린의 용량을 줄이고 점심시간에는 식사에서 탄수화물의 비중을 줄이는 식으로 생활 습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당뇨병학회, 연속혈당측정을 이용한 혈당조절 길잡이, p10

또 일일 혈당 프로필은 매일의 혈당 그래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서 주중과 주말 중 어떤 날짜에 혈당 변화가 심한지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주중에는 혈당이 대체로 안정적인데 주말에 혈당 변화가 심하다면 주말 동안 먹었던 식사 메뉴나 식사 시간 등을 점검해 볼 수 있고, 유난히 혈당이 높았던 날이 있다면 그날 먹었던 식사 메뉴가 자신의 혈당 건강에 좋지 않음을 기억하면 나의 혈당 건강에 대해 더 잘 알고 대비하는 방법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AGP 보고서는 어려운 용어가 많아 언뜻 봤을 때는 이해하기 힘들고, 병원 진료 시 의료진만 확인하는 복잡한 지표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AGP 보고서는 연속혈당측정기(CGM)를 착용하는 동안 혈당 변화를 잘 추적해 기록해 주는 발자국과도 같습니다. 내가 걸어온 길에 발자국이 남으면 바르게 걸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지난 기록을 정리한 AGP 보고서를 잘 활용하기만 해도 그동안의 혈당 관리가 어땠는지 한눈에 파악하기 쉽습니다. 혈당을 잘 관리하고 있는지, 어떤 시간대에 가장 관리가 많이 필요한지 힌트를 얻기 위해 이제는 AGP 보고서와 한 걸음 더 가까워져 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문헌

  1. 당뇨병학 6판, Ch43 연속혈당측정 및 혈당모니터링, p533, 대한당뇨병학회

  2. 연속혈당측정을 이용한 혈당조절 길잡이, p10, 대한당뇨병학회

Share article

파스타 매거진